게시판
번호 : 1306 작성일 / 조회 3,923
(주)신일부도, 지방업계 조마조마 / 중앙일보
㈜ 신일 부도, 지방건설업계 조마조마 [중앙일보]
`지표는 그럴싸 … 속은 골병`
`건설경기 양극화로 중소업체 설자리 없어`
정부선 뒤늦게`지방 살릴 정책 검토 할것`
전북의 중견 건설업체 ㈜신일의 부도 소식을 접한 건설업계 일성은 "올 것이 왔다"였다. 누적된 지방 건설 경기 하락이 불러온 당연한 결과였다는 것이다.

신일은 현재 법정관리를 검토 중이다. 잠시 돈줄이 막혀 부도를 냈지만, 법정관리를 통해 충분히 회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신일 관계자는 14일 "영업 이익이 흑자를 내고 있는 가운데 일시적으로 돈 흐름이 막혀 부도가 났다"며 "회사를 충분히 살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런 신일 측의 장담과 달리 시장의 눈길은 차갑다. 아무리 흑자 부도가 났다지만, 회생을 장담하기엔 지방 건설 경기가 워낙 나쁘다는 것이다.

게다가 정부의 규제 강화로 당분간 주택 건설사업은 내리막길을 달릴 수밖에 없다. 그러다 보니 중견 건설업체들을 중심으로 연쇄 부도설이 끊임없이 나돌 정도다.



◆건설 경기도 양극화=4월 건설수주는 지난해에 비해 48.9% 증가했다. 올 1~4월 건설 수주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1%나 늘었다. 건설업체가 느끼는 체감경기를 나타내는 건설기업 경기실사지수(CBSI)도 4월에 전달보다 1.9포인트 상승한 83.2를 기록, 4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지표만 보면 건설경기는 좋아지고 있다. 지방 건설회사의 위기설은 기우처럼 여겨진다. 그러나 이는 '착시현상'에 불과하다는 게 업계 얘기다. 매출액 비중이 큰 중.대형 건설업체의 수주가 꾸준히 늘어서 각종 지표가 좋아진 것처럼 보일 뿐이란 것이다. 반면 중소형 업체의 살림살이는 갈수록 쪼그라들고 있다.

실제 대형.중견 업체와 중소업체, 서울과 지방 소재 업체의 CBSI는 각각 30포인트 가까이 차이가 난다. 또 수도권의 미분양은 갈수록 줄고 있지만 지방의 미분양은 급증하고 있다.

◆지방에 올인, 위험 자초=업체들은 수도권의 집값 상승세가 지방으로 확산된 2002년 이후 지방으로 몰려갔다. 또 혁신도시.기업도시 등 정부의 정책도 건설업체의 지방행을 부추겼다. 그러나 정부가 규제를 강화하면서 분위기가 일순 가라앉았다. 그렇다고 발을 빼기엔 너무 늦었다. 중견업체인 D사 관계자는 "지급보증으로 사업이 시작된 경우엔 시장 상황이 좋지 않다고 중간에 그만둘 수가 없다"고 털어놨다.

지방의 집값 상승세가 꺾였는데도 공급이 계속 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정부 규제도 한몫=수도권 집값 상승에 놀란 정부는 지속적으로 규제를 강화해 왔다. 문제는 수도권과 지방에 똑같은 규제가 적용됐다는 것이다. 투기과열지구.투기지구.양도세제.총부채상환비율(DTI) 등에서 수도권과 지방에 차별이 없다.

부산.대구.광주 등 지방자치단체도 정부에 끊임없이 투기과열지구의 해제를 요구했지만 정부는 요지부동이었다. 그러다 최근 지방경기가 심상치 않다고 판단한 정부는 "5월 말 또는 6월 초 투기과열지구 해제를 검토하겠다"고 했지만 이 또한 이뤄지지 않았다.

급기야 신일 부도로 연쇄부도가 현실화될 가능성이 커지자 진동수 재정경제부 차관은 "지방의 미분양을 포함해 (지방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뭘 할 수 있는지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김준현.안장원 기자

목록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
비밀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